콘텐츠로 건너뛰기

주요 논문

Neurology 2006; 67; 1563-1567

유전성 통증질환을 가지고 있는 가족으로부터 발견한 돌연변이로부터 분자수준에서의 통증 유발 기전을 밝혀 Highlignt 논문으로 선정

외부 유전자 전달 및 발현이 어려운 신경세포에 유전자를 전달하는 2가지 기법(biolistic transfection과 electroporation)을 표준화하고 주요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신경세포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방법을 정리함

Nat Rev Neurol. 2011;7(1): 51-55

유전성 통증질환을 가지고 있는 가족으로부터 발견한 돌연변이로부터 새로운 통증유발기전을 밝히고 이전에 알려진 통증기전과의 차이점이 어떻게 임상적인 증상과의 차이점을 유발하는지 밝혀냄

J Neurophysiol. 2011; 106(6): 3173-3184

배양이 되지 않는 신경세포의 특성으로 인한 실험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말초 감각신경을 모사하는 컴퓨터 신경모델을 수립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알아내기 힘든 각 단백질들의 기능을 구체적인 기능을 제시하였음

“What is the point of being alive if you don’t at least
try to do something remarkable?”

JANET MORRIS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