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퍼드대 교수 연구팀은 최근 암의 확산을 돕는 새로운 DNA인 염색체외 DNA(ecDNA)를 발견했다. 이 DNA는 인체의 성장과 특징을 결정하는 염색체와 독립된 상태에서 확산되는 것으로, 암 발병과 연관된 DNA 연구는 기존에는 염색체 내에 집중되어 왔다. 이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는 암의 치료를 방해하는 항암제 내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 염색체가 암을 유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체외 DNA에 초점을 맞춘 치료법을 연구 중이며, 암과 관련된 체외 DNA를 다루는 최적의 방법을 찾아내겠다는 계획이다.
Scientists have discovered extrachromosomal DNA (ecDNA), which facilitates the spread of cancer cells. Previous research focused on DNA within the chromosomes. ecDNA can cause confusion in the body’s immune system and promote drug resistance, leading to poor treatment outcomes. It was discovered that ecDNA bypasses normal genetic rules to cause cancer. The researchers are currently studying treatments that focus on ecDNA by developing drugs that target the protein that ecDNA aggregates around. They are optimistic about finding the optimal way to deal with ecDNA in relation to cancer treatment.